본문 바로가기
개발일기

[IT지식] 면접 질문 복습하기

by .LUKA 2022. 4. 22.
728x90

CRUD란 무엇인가?

CRUD는 대부분의 컴퓨터 가 가지는 기본적인 데이터 처리 기능인 Create(생성), Read(읽기), Update(갱신), Delete(삭제)를 묶어서 일컫는 말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갖추어야 할 기능(정보의 참조/검색/갱신)을 가리키는 용어로서도 사용된다.

 

API란?

API는 응용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에서 운영 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를 뜻한다.
주로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REST API / RESTful API ?

REST API란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의 약자이다. 여기에 ~ful 이라는 형용사형 어미를 붙여 ~한 API 라는 표현으로 사용된다. 즉, REST 의 기본 원칙을 성실히 지킨 서비스 디자인은 'RESTful'하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

REST API의 설계 가이드

  • 리소스의 대한 행위는 HTTP Method(POST, GET, PUT, DELETE)로 표현해야 한다.
    POST-생성, GET-조회, PUT-수정, DELETE-삭제
  • /(슬래시)는 계층 관계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
  • URI 마지막 문자에 /(슬래시)를 사용하지 않는다.
  • URI에 _(언더바)를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영어 대문자 보다는 소문자를 쓴다. 그리고 가독성을 위해 긴 단어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 URI에 동사는 GET, POST와 같은 HTTP Method를 표현하기 때문이다. 동사가 아니라 명사를 사용한다.
  • URI에 파일의 확장자를 포함시키지 않는다.

RESTful API란 REST API 설계 가이드를 따라 API를 만드는 것이다.

 

동기와 비동기의 차이?

동기: 말 그대로 동시에 일어난다는 뜻, 요청과 그 결과가 동시에 나타난다는 약속이다. 바로 요청을 하면 시간이 얼마나 걸리든 상관없이 요청한 자리에서 결과가 주어져야 한다.

비동기: 비동기는 동시에 일어나지 않는다를 의미한다. 요청과 결과가 동시에 일어나지 않는다는 약속

 

동기방식은 설계가 매우 간단하고 직관적이지만 결과가 주어질 때까지 아무것도 못하고 대기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비동기방식은 동기보다 복잡하지만 결과가 주어지는데 시간이 걸리더라도 그 시간 동안 다른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출처: https://private.tistory.com/24 [공부해서 남 주자]

 

로컬스토리지와 세션스토리지의 차이? 쿠키란?

로컬스토리지세션스토리지HTML5에서 추가된 저장소이다. 간단한 키와 밸류를 저장할 수 있다.

로컬스토리지와 세션스토리지의 차이점은 데이터의 영구성이다. 로컬스토리지의 데이터는 사용자가 지우지 않는 이상 계속 브라우저에 남아있다. 하지만 세션스토리지의 데이터는 윈도우나 브라우저 탭을 닫는 경우 바로 제거된다.

쉽게 말해 지속적으로 필요한 데이터(자동 로그인 등)는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잠깐 동안 필요한 정도(일회성 로그인 정보)는 세션 스토리지에 저장하면 된다. 비밀번호 같은 중요한 정보는 절대 저장하면 안된다.

 

또한 로컬,세션스토리지가 나오기 이전에도 브라우저에 저장소 역할을 하는것이 바로 쿠키이다. 쿠키는 만료 기한이 있는 키-밸류 저장소 이다.

 

출처: https://www.zerocho.com/category/HTML&DOM/post/5918515b1ed39f00182d3048 [제로초]

728x90